전주권, 6대 대도시권 공식 포함

전주권, 6대 대도시권 공식 포함
전북 전주권이 국가가 관리하는 6대 대도시권에 공식 포함되면서 전북 지역의 공간구조 개편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국무회의에서 전주권이 수도권, 부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에 이어 6대 대도시권에 포함되는 안이 의결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행정 구분을 넘어 지역 균형발전과 자립형 광역권 구축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법적 광역권으로 자리매김한 전북
이번 개정령안 통과로 전주, 익산, 군산, 김제, 완주 등 5개 시·군이 하나의 대도시권으로 묶이게 되었습니다. 인구 약 135만 5천 명 규모의 광역 생활권이 법적으로 인정받으면서, 그동안 행정 단위별로 분절되어 있던 전북의 공간구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수도권·광역시 중심 교통투자 체계의 구조적 전환, 지방 교통망의 법적 자립권 확보, 새만금혁신도시전주권을 잇는 광역생활경제권 완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공동 성장의 법적 틀 마련
전북은 광역시가 부재한 지역 구조로 인해 시·군 간 연계 발전이 어려웠고, 각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생존을 모색하는 ‘각자도생’의 형태가 고착화되어 왔습니다. 교통망, 주택정책, 산업 인프라 등 주요 정책 추진에서 일관된 방향성을 갖기 어려웠던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번 전주권의 대도시권 지정으로 공동 발전의 법적 틀이 마련되었습니다. 전북의 중심도시 전주를 축으로 익산, 군산, 김제, 완주가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되면서 지역 내 교류와 도시 기능 재편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정부의 직접 개입과 실행 계획
전주권은 법적으로 인정된 대도시권으로서 정부가 주택, 교통, 산업, 신도시 건설 등 핵심 정책에 직접 개입할 권한을 갖게 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갈등조정체계 운영, 혁신지구 및 공공복합사업 부담률 75% 감면 등 실행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기존에 지자체가 부담하던 재정적 몫을 국가 직할형으로 전환해 정부가 직접 전주권 광역교통망과 도시권 형성을 책임지는 체계로 변화함을 의미합니다.
전주권의 미래와 균형발전
기존 5대 대도시권은 국제공항, 고속철도, 복합환승체계 등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전주권 또한 이번 지정을 통해 광역생활권 수준의 기반시설 구축과 산업 연계가 추진될 전망입니다.
전북의 미래를 새롭게 써 내려갈 공간 혁신의 출발점으로서 전주권의 6대 대도시권 포함은 전북의 새로운 도약을 의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