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 이병기 선생의 전북 문화 발자취

Last Updated :
가람 이병기 선생의 전북 문화 발자취

가람 이병기 선생과 전북 문화 여행

전라북도 곳곳에는 민족 문화의 수호자 가람 이병기 선생의 흔적이 깊이 스며 있습니다. 5월의 상쾌한 바람과 함께 그의 대표작 ‘별’을 떠올리며, 전주 다가공원에 세워진 가람 시비와 한옥마을 내 양사재를 찾아보는 여행이 시작됩니다.

가람 이병기 선생은 난초처럼 청초하게 살며, 일제강점기에도 단 한 편의 친일 문장을 남기지 않은 올곧은 독립운동가입니다. 창씨개명을 끝내 거부하며 민족의 자존심을 지킨 그의 삶은 깊은 감동을 줍니다.

다가공원의 가람 시비와 역사적 의미

전주 도심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다가공원 정상, 참궁로를 따라 오르면 ‘가람 시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참궁로’는 ‘눈물로 참배를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간직한 역사적 장소입니다. 시비에는 가람 선생의 시 ‘시름’이 새겨져 있어, 그가 겪은 고통과 민족의 슬픔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름’은 좁은 가슴 안에 날마다 돋는 고통과 슬픔을 담아내며, 웃음과 눈물을 잃은 몸의 쓸쓸함을 표현합니다. 이 시를 음미하며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선생의 마음을 되새겨보는 시간이 됩니다.

전주 한옥마을 양사재에서의 고요한 시간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양사재는 가람 선생이 집필과 후학 양성에 힘썼던 곳입니다. ‘가람다실’이라 불리는 이 다실에서는 선생의 학문적 열정과 교육 정신이 느껴집니다. 오월의 햇살이 가득한 툇마루에 앉아 고요한 시간을 보내며, 별빛 가득한 밤의 낭만을 상상해 봅니다.

여산휴게소와 여산초등학교에서 만나는 가람의 흔적

호남 고속도로의 관문인 여산휴게소는 가람 선생의 고향 여산을 상징하는 장소입니다. 이곳에서는 선생의 시 ‘고향으로 돌아가자’를 음미할 수 있으며, 난초를 사랑한 그의 시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여산초등학교 교가를 직접 작사한 가람 선생의 인연이 깊은 이 학교 교정에는 그의 작품 ‘별’의 시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오월의 햇살 아래 교정에서 그의 노랫말을 흥얼거리며 민족의 노래를 되새겨 봅니다.

가람문학관과 생가에서 만나는 선생의 삶

익산시 여산면에 위치한 가람문학관과 생가는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수우재’라는 이름의 방은 선생의 소탈하고 검소한 성품을 보여줍니다. 생가 안에서는 난초를 소재로 한 대표작 ‘난초’를 떠올리며, 선생의 문학 세계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생가 뒷산에 조용히 잠든 가람 선생은 친일 문장을 단 한 줄도 남기지 않았으며, 국립묘지 안장을 거부하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의 묘지 앞에서 잠시 묵념하며 선생의 올곧은 정신을 기립니다.

가람문학관은 2017년에 설립되어 선생의 문학작품과 자료, 동영상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에도 친일 문학을 쓰지 않았던 그의 삶과, 해방 후 서울대학교와 전북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한 업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가람 이병기 선생의 문학과 정신

가람 이병기 선생은 현대 시조의 개척자이자 한글과 국문학의 든든한 기둥이었습니다. 그의 첫 시조집 ‘가람 시조집(1939)’은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민족운동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줍니다.

선생은 일제의 한글 말살 정책에도 굴하지 않고 우리말과 글의 주체성을 지키기 위해 평생을 바쳤습니다. 50여 년간 꾸준히 쓴 일기에는 가족과 나라, 학문에 대한 사랑이 담겨 있습니다.

2025년에는 선생의 시조와 일기를 정리한 ‘가람 이병기 전집’이 11년 만에 완간되어, 그의 얼과 혼을 다시금 기억하게 하는 뜻깊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가람 선생을 찾아 떠난 의미 있는 여행

가람 이병기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 떠난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한 시대의 정신과 문화를 되새기는 시간이었습니다. 선생의 올곧은 독립정신과 한글 수호자로서의 삶은 우리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전합니다.

전북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8에 위치한 가람문학관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되며,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봄날의 따스한 햇살 아래, 가람 선생의 삶과 문학을 느껴보는 뜻깊은 여행을 추천합니다.

가람 이병기 선생의 전북 문화 발자취
가람 이병기 선생의 전북 문화 발자취
가람 이병기 선생의 전북 문화 발자취 | 전북진 : https://jeonbukzine.com/3707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전북진 © jeon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