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 상징 느티나무의 깊은 이야기

Last Updated :

새천년 밀레니엄 나무, 느티나무

1999년 12월 27일, 산림청은 21세기 새천년을 상징하는 '밀레니엄 나무'로 느티나무를 선정했다. 국민들로부터 추천받은 후보 나무들 중 소나무, 참나무, 은행나무 등 여러 종을 심사한 끝에 전문가 위원회가 느티나무를 가장 적합한 상징으로 결정했다.

느티나무가 새천년 상징나무로 선정된 이유는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선조들이 마을의 안녕과 화합, 태평성대를 기원하며 마을 어귀나 성황당에 심어온 전통 때문이다. 이는 지역 간 화합과 통일 조국의 번영, 그리고 선진국 도약을 염원하는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외국 사례를 보면 독일은 빙하기 이전부터 자생하며 장수하는 은행나무를, 캐나다는 환경 보호 효과가 큰 가문비나무를 밀레니엄 나무로 선정한 바 있다.

느티나무의 특징과 의미

느티나무는 50년 이상 자라면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며 마을 어귀에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정자나무 역할을 해왔다. 시골 마을마다 느티나무가 없는 곳이 드물 정도로 오랜 세월 주민들의 삶과 함께해온 나무다.

옛 서당에서는 느티나무 아래에서 학문을 가르치기도 했으며, 마을 입구에서는 당산나무로서 마을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소나무가 겨울에도 푸른 기상을 상징한다면, 느티나무는 계절 변화에 순응하는 어머니의 따뜻한 자애를 상징한다.

가을에는 노랗고 붉은 단풍으로 아름다움을 더하고, 겨울에는 눈 덮인 가지가 한 폭의 풍경을 완성한다. 우리나라 보호받는 노거수 중 절반 이상이 느티나무이며, 가장 오래된 느티나무는 부산 기장군 함안읍에 약 1,300년 된 나무가 있다.

느티나무의 다양한 쓰임새

느티나무 목재는 단단하고 무늬가 아름다워 고급 건축재로 사용되어 왔다. 고궁, 사찰, 양반가옥 건축에 쓰였으며, 가구, 악기, 선박 제작에도 널리 활용됐다. 고대 유적지인 천마총과 가야분에서 느티나무 관이 발견되기도 했다.

또한, 느티나무는 대기오염과 병충해에 강해 가로수와 조경수로 많이 심어진다. 은행나무, 이팝나무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심어진 가로수 종이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도 활용되며, 멥쌀가루와 팥을 섞어 시루떡을 만들어 초파일에 먹는 전통도 있다. 최근에는 껍질과 잎을 약재로 연구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느티나무의 꽃과 열매

느티나무는 잎이 무성해 꽃과 열매가 잘 눈에 띄지 않지만, 매년 4~5월에 연노랑빛 녹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10월경에 작은 공 모양의 딱딱한 열매를 맺는다. 꽃말은 '운명'이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나무껍질은 나이가 들수록 비늘처럼 벗겨진다.

전북의 유명한 느티나무와 보호 현황

전북 특별자치도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세 그루 있다. 김제 행촌리 느티나무(제280호),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제281호),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제396호)로 각각 500~600년의 수령을 자랑한다.

이들 나무는 자연재해와 기후변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접목을 통한 후계목 육성 사업이 진행 중이며, 2009년에는 완주군 대아수목원에 천연기념물 후계목 동산이 조성되어 유전자원이 보존되고 있다.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는 약 600년 된 나무로, 단양 우씨가 마을을 이룰 때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에서는 매년 당산제를 지내며 나무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전북 내 보호수는 총 659본이며, 이 중 느티나무가 459본으로 69.7%를 차지한다. 가장 큰 보호수는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에 위치한 느티나무로 가슴둘레가 약 3.5m에 이른다.

임실 오수 의견 느티나무 이야기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에는 주인의 목숨을 구한 개의 이야기가 전해지는 '오수 의견 느티나무'가 있다. 주인이 술에 취해 잠든 사이 들불이 일어나자, 개가 몸을 적셔 불길을 막아 주인을 구했다. 이후 주인은 개를 기리기 위해 지팡이를 꽂았고, 그 지팡이에서 싹이 트며 느티나무가 자랐다.

이 나무는 '개의 화신'으로 불리며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새천년 상징 느티나무의 깊은 이야기
새천년 상징 느티나무의 깊은 이야기
새천년 상징 느티나무의 깊은 이야기 | 전북진 : https://jeonbukzine.com/3681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전북진 © jeon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