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 정부 정보시스템을 새롭게 전환하다!
정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계획
정부는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3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전환으로 평균 시스템 중단시간은 95% 감축되고, 서비스 요청 처리 시간도 26%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용자 폭증 시 용량이 4.5배 자동 확장 되어, 행정 서비스의 안정성 및 속도가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이를 위해 5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국민의 편의를 고려해 24시간 안정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을 선정한 결과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정의와 장점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서버와 저장소 자원을 필요에 따라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서버와 기타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자동 확장 및 배포 기능이 장점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통해 여러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최대한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사용자 수가 급격히 몰리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처리 용량을 확장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해외 정부와 기업이 이미 이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기술적 장점은 안정성 및 확장성에 있다.
- 자동으로 시스템이 배포되며, 서비스 중단 시간을 줄인다.
- 사용자 몰림이 발생하더라도 자동으로 용량을 조절해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의 구체적 계획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수요 조사를 통해 10개 기관의 13개 정보 시스템에 대한 전환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요구가 높은 시스템들로만 선정하여 고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시스템 전환은 통째로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 시스템은 안정성과 배포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시스템별 추진 방식과 특징
전환 대상인 13개 시스템은 사전 컨설팅을 통해 시스템당 평균 9개의 작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뉘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분리된 응용 프로그램들 덕분에 각기 다른 기능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시스템 간의 충돌이나 중단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시스템들은 국민의 편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24시간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추진 방식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목표와도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후 기대 효과
시스템 중단시간 감축 | 서비스 요청 처리 시간 단축 | 용량 자동 확장 비율 |
95% | 26% | 4.5배 |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전환된 시스템들은 위의 주요 성과들을 통해 행정 서비스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이 시스템들이 전환된 이후에도 성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지표를 개발해 지속적인 성과를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성과 관리 및 지속적 발전 계획
정부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도입 후에도 성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것이다. 아울러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당 지표를 공유하여, 전체 행정 및 공공기관들이 디지털 전환에서 생기는 데이터와 기술적 개선 사항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러한 성과 관리 체계는 정부의 디지털 플랫폼을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및 향후 과제
이번 정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행정 서비스의 질은 높아지고, 국민의 편의성은 극대화될 가능성이 크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새로운 기술 도입이 디지털 플랫폼 정부로의 진전을 한층 더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실행 계획과 정책적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디지털 정부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속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