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가치 기후변화 막고 지역 경제 살린다!
산림청의 숲 추진전략 개요
산림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모두가 누리는 숲 추진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이 전략은 미래세대와 현재의 국민이 공동으로 숲의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하여 지역경제에 활력을 더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을 보여줍니다. 이번 전략은 산림의 보호와 경제적 이용을 동시에 고려하며 5대 전략을 통해 이를 실행할 예정입니다. 이 전략을 통해 산림의 안전과 생태계 보전,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림재난 예방 및 관리
기후변화로 인해 산림재난이 빈번해짐에 따라, 산림청은 종합적인 산림재난 관리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자산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림재난방지법이 제정되어 통합된 관리체계가 구축되며, 산불, 산사태 등 각종 재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고성능 산불진화차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어 재난 대응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현장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산림재난 방지를 위한 법적 토대 마련
- 고성능 장비 및 인공지능 기술 활용
- 재난 전문 교육훈련기관 설립
산림의 기후변화 대응 역할 강화
산림은 탄소 흡수원으로서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림청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체계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우수한 수종 개발과 유휴토지에 나무를 심는 등 신규 탄소흡수원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국산목재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규제를 개선하여 목조건축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국외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국제적으로도 산림 탄소축적을 증진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산림 생태계 관리 전략을 더욱 강화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것입니다.
임업인 지원 및 소유구조 개선
우리나라의 사유림의 56%가 부재산주로, 산림 경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산림 소유구조의 합리화입니다. 산지은행 제도를 통해 예비 임업인에게 산지를 제공하고, 보호지역의 산림 소유자에게는 정당한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목재수확 협약제도를 도입하여 임업인의 자유로운 경영 활동을 지원할 것입니다. '산주 권리찾기 캠페인'을 통해 산주들의 권리를 알리고 산림 경영에 대한 관심을 높일 것입니다.
숲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숲은 지역경제의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자리와 농수산물의 생산, 지역 관광 자원의 발굴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산림청은 수입목재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목재의 생산과 유통을 일원화한 특화된 지역목재 거점단지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한목(韓木)' 브랜드를 통해 국산 목재의 인식을 높이고, '숲푸드'와 같은 통합 브랜드를 활용해 소비를 촉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동서트레일과 같은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산림부문 민간시장 육성
산림기술업 활성화 | 숲교육 영역 확장 | 신산업 창출 |
정부 시행사업 의존도를 낮추고 민간 중심으로 재편 | 새로운 사회 여건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산림부문에서의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 발굴 |
산림청은 앞으로 산림 부문 민간 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합니다. 산림기술업과 산림복지전문업 등의 활성화를 위해 민간 중심의 새로운 구조로 재편할 것입니다. 또한 늘봄학교와 같은 혁신적인 숲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산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신산업을 창출하는 다양한 사업 영역을 발굴할 계획입니다.
미래세대를 위한 숲의 가치
산림청의 임상섭 청장은 “현재세대와 미래세대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숲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모두가 누리는 숲 추진전략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현장과 소통하고 밀착 지원하겠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이런 목표는 산림의 건강과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정책문의 및 출처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 산림정책과에 대한 문의는 042-481-4135로 가능합니다. 제공된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나 사진의 경우 저작권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정확한 출처 표기를 통해 법적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