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원평집강소, 동학정신 깃든 역사문화 공간

Last Updated :
김제 원평집강소, 동학정신 깃든 역사문화 공간

김제 원평집강소, 동학농민혁명의 중심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위치한 원평집강소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동학농민군이 설치한 집강소 중 하나로,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장소입니다. 동학농민군과 전라도 관찰사 간 전주화약 이후 전라도 53개 군현에 설치된 집강소는 부패한 관리를 단죄하고 백성을 위한 자치 행정을 실현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원평집강소는 동학농민군 접주 김덕명 장군이 ‘신분 차별 없는 세상’을 외치며 활동한 중심지로, 당시 동학농민군이 직접 행정을 집행하며 백성을 괴롭히는 관료나 신분 질서를 해치는 행위를 엄격히 다스렸습니다. 집강소는 단순한 군사 거점이 아닌 동학의 이상을 실현하는 정치·행정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복원과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한 원평집강소

1882년에 지어진 초가집인 원평집강소는 오랜 세월 동안 진료소, 교회, 개인 주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2015년 김제시의 복원 사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습니다. 복원된 집강소는 동학농민군이 꿈꿨던 자주적 민중 정치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며, 교육과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원평집강소는 지역 주민과 유족들의 관심과 협력으로 잘 보존되고 있으며,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기리는 살아 있는 역사 현장으로 많은 방문객이 찾고 있습니다. 이곳을 찾는 이들은 1894년 평등과 정의, 새로운 세상을 꿈꾸었던 민중의 열망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원평집강소 복합문화공간, 역사와 예술의 만남

원평집강소 바로 뒤편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은 과거 역사와 현대 문화가 어우러진 체험 장소입니다. 이곳에서는 전통문화 체험, 역사 교육 워크숍, 청소년과 가족 단위 참여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며, 야외마당과 실내 공간에서는 음악회, 마당극, 전통 놀이 행사 등 다양한 문화 예술 공연이 펼쳐집니다.

또한 독일에서 활동 중인 조각가 강진모 작가의 조형 작품, 이원마을 김금자 님의 전통 자수, 국가무형문화재 유기장 이종덕 작가의 유기 작품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새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인근 역사 유적지와 독립운동가 기념 공간

원평집강소에서 승용차로 1~2분 거리에 위치한 구미란전적지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동학군과 관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인 역사적 장소입니다. 이곳은 민중의 저항 정신과 항쟁 의지가 깃든 의미 있는 유적지로, 당시 현장의 긴장감과 열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구미란전적지 입구에는 1919년 3.1운동 만세 시위를 기념하는 원평장터 기미독립만세운동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배세동, 전도명, 이병석 등 독립운동가들이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준비해 만세운동을 벌였으며, 1989년 후손들이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건립했습니다.

또한 김제시 금산면 출신 독립운동가 애국지사 이종희 선생 생가가 위치해 있습니다. 이종희 선생은 1919년 중국으로 망명해 의열단에 가입, 광군학교 졸업 후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에서 활약하며 항일투쟁을 이어갔습니다.

김제 실내 가볼만한 곳 안내

  • 원평집강소: 전북 김제시 금산면 봉황로 5
  • 원평집강소 복합문화공간: 전북 김제시 금산면 봉황로 5-1
김제 원평집강소, 동학정신 깃든 역사문화 공간
김제 원평집강소, 동학정신 깃든 역사문화 공간
김제 원평집강소, 동학정신 깃든 역사문화 공간 | 전북진 : https://jeonbukzine.com/3903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전북진 © jeon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