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통합 행정체제 개편 속도

완주·전주 통합 행정체제 개편 속도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전북특별자치도 통합 시·군 상생발전에 관한 조례」를 공포·시행하며 완주와 전주의 행정체제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조례는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주도의 행정체계 개편을 추진하는 대통령 공약의 일환으로, 주민 의견을 반영한 통합 방안 마련과 중앙정부의 인센티브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지역 소멸 방지를 위해 범부처 통합 태스크포스(TF) 구성과 로드맵 제시를 약속했다. 광역시·도 간 통합과 시·군·구 통합 등 다양한 지자체 통합 방안을 추진하며,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 지정도 포함됐다. 기존 특례시가 인구 기준으로 선정된 반면, 거점 특례시는 지자체가 경쟁력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면 권역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1월 행정안전부 민간 자문위원회는 지방행정체제 개편 권고안을 발표하며, 인구 감소를 고려해 비수도권 특례시 인구 기준을 기존 100만에서 50만으로 낮출 것을 권고했다. 또한 권역 내 거점 기능 수행 가능성과 인근 시군과의 연계·협력, 시군 통합 여부도 함께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4월 지방시대위원회는 주민 공감대 확보를 전제로 완주·전주 통합의 타당성을 인정했다. 성장 거점도시 기능 강화로 인구 유출 완화, 기업 투자 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생활권과 행정구역 일치로 주민 편익 증대와 정주 여건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완주와 전주가 함께 추진하는 이번 통합은 100만 특례시 지정과 함께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공정한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한다.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의 새로운 도약을 예고하는 중요한 행정체제 개편으로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