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제한 공간정보 대전에서 안전하게 이용하기!
공개제한 공간정보의 활용 확대
서울 강남의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안심구역에서의 고정밀 항공사진과 위성영상, 전자지도 등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제 대전의 데이터 안심구역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부 간의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을 통해 가능해졌습니다. 두 기관은 오랜 기간 동안 접근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데이터 융합을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습니다. 데이터 안심구역은 미개방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두 부처는 이 제도를 통해 공공 데이터의 활용 촉진을 목표로 합니다.
데이터안심구역의 개념과 기능
데이터안심구역은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활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안전한 분석 및 활용을 지원합니다. 이 지역은 보안환경을 갖춘 지정된 장소에서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되어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7개 기관 9개 센터를 운영하며, 국토부는 1개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구역에서는 분석 결과물만을 반출할 수 있도록 제한이 있어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안심구역은 과기정통부와 관계 중앙행정기관이 지정합니다.
- 공개제한 공간정보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 보안구역 내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협약의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
이번 협약을 통해 국토부는 비수도권의 기업과 연구기관도 공개제한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조치는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사례를 창출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대전 데이터안심구역에서 제공하는 카드데이터 및 소득·소비신용통계정보 등의 미개방 데이터를 공간정보안심구역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융합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업무협약식의 의의와 참석자
업무협약식에는 과기정통부와 국토부, 한국국토정보공사 및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참석하여 데이터 개방 및 활용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들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데이터 산업 진흥과 활용을 촉진할 것을 다짐하였습니다. 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간정보의 산업 분야 활용
| 모빌리티 산업 | 스마트농업 | 환경·에너지 |
| 도시 계획 | 재난 관리 | 교통 관리 |
공간정보는 미래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자율주행 및 스마트농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환경, 에너지 분야에서도 그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신산업 분야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신산업 분야에서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와 이종 데이터의 융합이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데이터 활용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입니다.
향후 계획과 정부의 역할
과기정통부와 국토부는 앞으로도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을 더욱 활발히 추진할 계획입니다. 데이터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것입니다. 특히, 비수도권의 기업과 연구기관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할 예정입니다.
문의 및 추가 정보
보다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문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진흥과(044-202-6292)와 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과(044-201-3460)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부의 데이터 개방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합니다.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혁신적인 사례가 많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 및 마무리
이번 협약체결은 공개제한 공간정보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이 데이터들이 다양한 산업에 혁신과 변화를 가져다주기를 기대합니다. 데이터 기반의 빠른 진행은 기업과 국민 모두에게 큰 이익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